소 식

보도자료

제목“역사를 제대로 알아야겠다” 3·1절 낀 연휴에 홍범도 전시회 찾은 시민들2024-03-21 11:21
작성자 Level 10

“역사를 제대로 알아야겠다” 3·1절 낀 연휴에 홍범도 전시회 찾은 시민들

2024.03.03 16:57 입력

서울 청파동 식민지역사박물관에 있는 홍범도 장군 흉상. 오동욱 기자

서울 청파동 식민지역사박물관에 있는 홍범도 장군 흉상. 오동욱 기자

경북 구미시에 사는 윤기석씨(30)는 3일 아내와 함께 서울 용산구 청파동에 있는 식민지역사박물관을 찾았다. 지난 1일부터 이곳에서 진행돼온 홍범도 장군 특별기획전 ‘홍범도와 ХОН БОМДО(홍범도)-북간도 연해주 중앙아시아 그리고 한국에서’를 보기 위해서였다. 박물관 한편의 기록들을 살피던 윤씨는 2019년 개봉작 <봉오동 전투>를 떠올리며 “영화에서 본 사실이 기록에도 있다. 전투의 한 장면이 생각난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까지 이어지고 있는 홍 장군 흉상 철거 논란 등을 언급하며 “(독립의 역사가) 정치 문제가 되는 게 안타깝다”라고 했다. 그는 “뉴라이트 등 일부 세력이 역사를 반대로 말하면서 너무나 쉽게 관심을 얻고, 그 과정에서 독립 영웅들이 정치적 도구로 소모된다”라고 말했다.

이날 식민지역사박물관을 찾은 시민들의 발걸음은 신중하고 더뎠다. 40평 남짓한 공간에 빽빽이 전시된 홍범도 일지 필사본과 홍 장군의 초상화, 의병대 활동에 관한 일본 경찰 보고서와 대한독립군 부대원 이종학의 봉오동·청산리 전투 회상기 앞에서 시민들은 한참 동안 서성였다.

백영권씨가 3일 서울 청파동 식민지역사박물관에서 홍범도 장군 특별기획전을 관람하고 있다. 오동욱 기자이미지 크게 보기

백영권씨가 3일 서울 청파동 식민지역사박물관에서 홍범도 장군 특별기획전을 관람하고 있다. 오동욱 기자

백영권씨(67)는 박물관에서 나눠준 ‘3·1 독립선언서’를 옆구리에 낀 채 전시를 관람했다. 그는 홍 장군 등 독립군의 무장투쟁사를 다룬 소설 <아리랑>을 지난해 두 차례 읽었다 했다. 백씨는 “지난해 8월 육군사관학교에 있는 홍 장군 흉상 철거 뉴스를 보면서 속에서 불이 차올랐다”라며 “역사를 제대로 알아야겠다고 생각해 오게 됐다”라고 했다. 백씨는 전시물 중 ‘인물관계도’와 ‘홍범도 생애’를 설명한 곳에서 오래 머물렀다. 홍 장군과 북간도·연해주에서 의병·독립운동가로 함께 활동한 ‘허근’ ‘김약연’을 낮게 읊조린 백씨는 “내가 몰랐던 많은 이들도 장군과 함께했던 것 같다. 이들에 대해 더 알아봐야겠다”라고 했다.

대학 신입생 유다예씨(19)는 첫 학기에 신청한 교양수업을 듣기 전 예습차 고등학교 친구 2명과 함께 박물관을 찾았다. ‘만주 및 연해주 지역 독립군 활동’을 표시한 지도를 보던 유씨는 “역사 수업에서 독립군 활동을 배웠지만 지도 위 어느 지역에서 일어난 활동인지는 처음 알았다”라고 말했다. 유씨의 친구 전가현씨(19)는 “홍 장군의 생애가 가장 인상 깊었다”라며 “부모님을 일찍 여의고 홀로 독립해서 생활하는 등 홍 장군이 태어났을 때부터 고난을 겪은 것은 처음 안 사실”이라고 했다.

시민들이 3일 서울 청파동 식민지역사박물관에서 홍범도 장군 특별기획전을 관람하고 있다. 정지윤 선임기자이미지 크게 보기

시민들이 3일 서울 청파동 식민지역사박물관에서 홍범도 장군 특별기획전을 관람하고 있다. 정지윤 선임기자

2층 상설전시장에도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가족과 함께 박물관을 찾은 오승환씨(45)는 “작년부터 홍 장군 흉상 철거 등 역사 왜곡이 심각하다고 생각해 아들을 데리고 역사교육도 할 겸 왔다”라고 했다. 오씨의 아들 준영군(11)은 앞에 놓인 <친일인명사전>의 두께가 인상 깊었는지 손바닥을 갖다 대면서 두께를 쟀다.

이번 3·1운동 105주년 특별기획전은 민족문제연구소와 월곡고려인문화관 결, 홍범도장군기념사업회가 주최했다. 지난해 8월 윤석열 정부가 홍 장군을 비롯해 육사 내에 건립돼 있는 독립전쟁 영웅 흉상 철거·이전을 추진하면서 논란이 일었다. 특히 정부가 홍 장군 흉상 이전 추진의 이유로 그의 소련 공산당 가입 전력 등을 들면서 이념 논쟁으로도 번졌다. 전시는 서울 용산구 청파동에 있는 식민지역사박물관에서 오는 5월5일까지 진행된다.


(출처 : 경향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