洪 範 圖

홍범도자료실

문헌/참고자료

봉오동의 전설적인 영웅, 홍범도 장군

우리 민족해방운동사, 특히 항일무장투쟁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대표적 인물로서 일반대중에게도 신화적 인물이나 전설적 영웅,
소련과 중국을 오가며 반일민족해방운동의 한가운데서 굳건히 투쟁한 대표적 무장이었다.

번호 제목
1 강용권, 김택, <홍범도장군>, 1996, 장산출판사
2 신학문사, 1989년 6월, 김세일저 <장편소설 홍범도> 3권
3 제3문 학사 <역사기록소설 홍범도> (제 5편까지) 출판
4 송우혜 <이범석의 ‘우등불’>, <역사비평> 1991년 여름호 참조, <우등불> 63면에서 이범석은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후일 홍범도씨는 러시아 이만시로 군대가 넘어가자 러시아에서 일크스크파의 공산당원이 된 사람들의 권유를 들어 공산당원이 되었다. 허나 그는 그속에서 할 일도 없었고 이름만 빌려준 셈이 되었다. 그후 그는 자유 ‘브라고베센스크’ 부근에서 방황하다가 병들어 불쌍하게 사망하고 말았다.”
5 신용하 <한국민족독립운동사연구>라는 저서를 을유문화사에서 출간. 그는 이 책의<독립군의 청산리(靑山里) 독립전쟁의 연구>라는 논문에서 ‘청산리 독립전쟁’에서의 홍범도 부대의 활약상을 강조하였다.
6 <홍범도 의병부대의 항일무장투쟁>, <한국민족운동사연구>제1집, 1986
<홍범도의 대한독립군의 항일무장투쟁>, <한국학보> 제43집, 1986
7 <재조명(再照明)해본 홍범도(洪範圖) 장군의 항일투쟁(抗日鬪爭), <신동아> 1985년 12월호.
8 <홍범도장군 연구>, <재만한인 독립운동사연구>, 일조각, 1988
9 <홍범도>, <독립운동가 열전>, 한국일보사, 1989
10 <청산리전투와 홍범도장군>, <신동아> 1984년 9월호
11 <북간도 ‘대한국민회(大韓國民會)’의 조직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 운동사연구> 제 집, 1986.
12 <최근의 홍범도 연구, 오류, 허점 많다>, <역사비평> 1988년 겨울호.
13 '날으는 홍범도가' 소개,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조선전사> 제 14권(근대2), 푸른숲, 1989 재간본, 191, 305면.
14 오길보, <홍범도 의병대에 대한 연구>, <역사과학> 1962년 제6호.
15 <조선통사(하)>, 오월, 1989 재간본, 112면.
16 <조선근대혁명운동사>, 한마당, 1988 재간본. 124면
17 <한국무장독립운동에 관한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155면
18 강덕상(姜德相) 1978년 <계간 삼천리(季刊 三千里>지 제 14호에 기고한 <의병장(義兵將)˙홍범도(洪範圖)의 생애(生涯) (일문(日文))
19 <연변당사 사건과 인물>, 연변인민출판사, 1988
20 <조선족역사연구에서 나타난 폐단에 대하여_출판물에서 본 폐단을 중심으로>. 1991년 7월 코리아학소장학자 국제학술토론회 발표문(이는<역사비평> (1991년 겨울호에 재수록)
21 김춘선(金春善), <1920년대 한민족무장독립운동 연구에 대한 제문제_봉오동, 청산리전투를 중심으로> 1991년 10월 제 4회 한국민족운동사 국제학술 심포지엄 발표문 등 참조.
22 강덕상 1984년 동경 청옥서점에서 출판한 <조선독립운동의 진상>은 단행본에 <의병대장, 홍범도>의 생애> 제목으로 재수록
23 화전춘수(和田春樹) <영극동의 조선인 1863~1937>, <사회학연구> 40권 6호 (1989년 3월) 목촌영양, <소련극동지방 1987년>, <역사평론> 447, 1987년 7월
24 고송무, <소련 동유럽 몽고에서의 한국학 배경빛 현황>, <슬라브학보> 제2권, 1987, 129면
25 신동아 1981년 7월호에 <소련속의 한국인사회>
26 <소련한족사> 정태수 편역 1989년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출판.
27 홍범도의 활동과 관련이 있는 소련측의 논문
바비체프(Babichev), <극동지방 내전에 참전한 중국과 조선의 노동자들>, 타슈켄트, 1959, 한(khan), <극동지방 소비에트 권력을 위한 투쟁에서의 조선인 빨치산들>, <전사잡지> 제5호, 1963, s.쯔이프긴(Typkin), <극동지방 간섭자들에 대항하는 투쟁에 참전한 조선의 노동자들>, <역사의 제문제> 제11호, - 역사비평사 <일제하 극동시베리아의 한인 사회주의자들 1990, 127
28 고송무, <소련의 한인들>, 이론과 실천사 1990
29 홍범도 자필 이력서와 자서전의 내용은 <레닌기치> 1989년 4월 11일
30 홍범도 자필 이력서와 자서전 제 3문학사에서 1990년 간행한 <역사기록 소설 홍범도> 제4권의 말미에도 부록 수록
31 원동 국립중앙문서보관소와 톰크스에 있는 홍범도의 <자서전>
32 홍범도가 한문이나 한자가 섞인 글을 몹시 혐오했고 반대로 한글로 쓰인글을 좋아했다는 기록 — 홍상표,<간도독립운동소사>, 한광 중고등학교
33 <의암집> 권 15서에는 <여홍여천범도(與洪汝千範圖)(1908년 12월 2일)>, <답홍여천(1910년 정월 28일, 동년 2월 24일)> 등 세 편의 서신 수록
34 <폭도토벌경황 제 83호>,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제 11권, 국사편찬위원회, 1983, 174~175면.
35 조선주차헌병대사령부가 1912년 11월에 조사한 <재외조선인결사단체상황> 홍범도권업회부회장
36 독립기념관 소장 도산(島山)자료 (1911.12.29. 백원보(白元普) → 안창호(安昌浩)편지)
37 김정명편, <조선독립운동> 제3권, 동경 원서방), 1
38 이재(李宰) 외 <한민족 전쟁사 총론> 교학연구사, 1988
39 <봉오동전투상보> (복사본) 참조.
신민단 독립군에 관해서는 신용하, <대한 신민단 독립군의 연구>, <동양학> 제18집, 단국대 동양학 연구소, 1988, 221~248 면 참조.
40 <독립신문>, 1920년 12월 25일자(4면)
41 <조선민족운동연감>의 1920.6.4.조에는 봉오동전투 일본군의 사자(死者)가 120명으로 기록되어 있다.
42 간도지방의 민족운동가이자 역사가이니 김정규의 일기에서 봉오동 전투시 일병 400명이 출동하여 독립군과 싸웠으나 100여명이 죽었고 사상자가 심히 많았다고 하였다. (<김정규일기 권 16, 1920년 4월 23, 26일조. 구체적 내용은 본 논문집의 <용연(龍淵)의 김정규의 생애와 『야사(野史)』> 참조.)
43 <독립운동사자료집> 제 10집 (독립군전투사 자료집),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6의<천락각서(天樂覺書)> 211면
44 원휘지(原暉之), <일본의 극동과 군사간섭의 제문제>, <역사학연구>, 476호, 6면
45 <독립운동사자료집> 제 10집(독립군전투사자료집), 237~238면
46 구주신문() 1985.5.31.
47 한국정신문화연구원편, 한국독립운동사 자료집 <홍범도편> 1995
48 국방부 전사 편찬위원회, <독립군항쟁사> 1985
49 강용권, 김택, <홍범도장군>, 1996, 장산출판사
50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조선전사> 14권(근대2), 1989 재간, 푸른숲
51 장세윤 <홍범도 일지를 통해 본 홍범도의 생애와 항일 무장투쟁> <한국독립운동사연구> 5집 1991,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 연구소
52 김상웅 <홍범도 평전>
53 반병률 <홍범도 장군>
54 이동순 <홍범도 1~10>
55 이동순 <강제이주열차>
56 신중인 <홍범도>